한지산업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스킵 네비게이션
본문으로 다시가기
하위메뉴로 다시가기
연락처및저작권으로 다시가기
한국전통문화전당
▶
전주공예품전시관
▶
한식창의센터
▶
우리놀이터마루달
▶
전주천년한지관
▶
상단로고
상단링크
메인메뉴
인사말
비전/미션
연혁
센터안내
이용안내
연구개발사업
한지체험
한지창작교육장
한지목공예교육장
디자인장비
한지제조 장비
시험분석·품질인증
한지길라잡이
지역별한지
한지축제
한지산학연
한지체험전시장
한지링크
한지산업별 DB
기타 자료 DB
공지사항
한지체험현황
한지창작현황
한지목공예현황
디자인 구성 요소
문서 위치
한지제조과정
홈
한지정보
한지길라잡이
한지제조과정
하위메뉴
한지정보
한지길라잡이
지역별한지
한지축제
한지산학연
한지체험전시장
한지링크
한지산업별 DB
기타 자료 DB
본문내용
한지설화
한지역사
한지제조과정
한지종류
한지용도
한지공예
한지용어
닥나무 채취 및 닥무지
닥나무는 11~2월 사이에 1년생 햇닥나무를 베어 원료로 사용한다. 닥나무는 껍질이 잘 벗겨지도록 찜통에 쪄준다. 벗긴 껍질을 흑피(피닥)라고 하며, 흑피를 물에 불려서 칼로 겉껍질을 제거한 것을 청피라고 한다. 청피의 청색 부분을 제거한 것이 백피가 된다.
닥나무 껍질 잿물에 삶기
밀대, 콩대, 볏짚 등을 태운 재를 뜨거운 물로 걸러 잿물을 만든다. 물에 충분히 불린 백닥을 약 30~40㎝ 정도 크기로 적당히 잘라 닥솥에 넣고 잿물과 함께 4~5시간 정도 삶는다.
세척 및 표백
삶은 닥섬유는 흐르는 물에 반나절 정도 담가두어 섬유질, 당분, 잿물기, 기름기 등을 씻어낸다. 씻어낸 닥섬유는 물속에 5~7일 담가놓고 햇볕에 자연 표백시킨다. 닥섬유를 물속에서 건져내어 잡티를 제거한다.
섬유풀기와 닥풀풀기
티를 골라낸 닥섬유를 닥돌 위에 올려놓고 닥방망이로 두둘겨 찧는다. 고해한 원료를 물이 있는 지통에 넣어 해리 시킨 후 여기에 닥풀(황촉규)을 넣고 섬유와 닥풀이 일정한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잘 저어준다.
한지뜨기
한지의 전통적 초지 방법은 외발 초지이다. 하나의 끈으로 묶여 있는 틀 위에 발을 놓고 앞물질, 옆물질을 반복한다. 두께 조절을 위해 습지 두 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겹쳐 한 장의 한지를 만든다.
습지 쌓기 및 물짜기
지승판 위에 작은 가마니를 깔고 그 위에 습지를 한 장씩 포갠다. 습지 사이에 베개(왕골, 나일론)를 끼워 종이를 떼어 내기 쉽게 한다. 습지가 400~500장 정도 쌓이면 그 위에 지승판을 얹고 무거운 돌을 올려 놓거나 지렛대로 눌러 하룻밤 동안 습지의 물기를 뺀다.
건조
전통적인 건조방법에는 일광건조, 목판건조, 온돌건조가 있다. 현대에는 열판에 증기로 열을 가하고, 그 위에 종이를 건조하는 열판 건조 방법을 사용한다.
도침
떠도침은 한지의 표면을 다듬는 전통기술이다. 한지를 수십장씩 포개 놓고 홍두깨나 디딜방아 형태의 도침기로 두들긴다. 도침을 한 종이는 표면이 고르고 섬유 사이의 틈이 메워져 인쇄할 때 번지는 현상이 줄어들며 광택도 좋아진다.
본문 다시읽기
리뷰컨텐츠는 현재 페이지의 본문내용에 다시 접근할 수 있도록 링크를 제공합니다.
본문 다시읽기
하단로고
주소 및 연락처
저작권
하단링크
약도
리뷰 네비게이션
본문으로 다시가기
하위메뉴로 다시가기
연락처및저작권으로 다시가기